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입시용어 알아보기] 블라인드 평가 & 오픈 평가(과거 사례) 2025.09.26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 입시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은 대학마다
평가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중에서도 많이 상기되는 개념이 바로
블라인드 평가와 오픈 평가인데요.
오늘은 두 평가 방식의 차이와 실제 대학별 적용 방식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블라인드 평가


특징

  • - 학생부 평가 시 학교명, 지역, 교사 성명 등을 가리고 평가

  • - 학생 개인의 활동과 성장 중심 평가

  • - 2021학년도 입시부터 전면 도입되어 현재는 대부분 대학에서 사용

  • - 대표: 서울 주요 대학(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유리한 학생

  • - 고교 이름보다 자신의 활동 기록과 성취로 승부할 수 있는 학생

  • - 세특·비교과를 충실히 작성해 자기만의 성장 과정을 드러낸 학생


준비법

  • - 활동 기록을 구체적이고 맥락 있게 남기기

  • - 세특에 전공 관련 탐구 과정·성과를 충실히 기재

  • - 비교과는 단순 나열이 아닌 “깊이 있는 참여” 강조


    📑 오픈 평가란? (과거 사례)

    • 과거에는 일부 대학에서 학교 정보(고교명, 지역, 교육 환경 등)을

      참고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 정부 주도 대학 기본역량진단평가 폐지:

      과거 교육부 주도로 3년마다 시행되던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제도가 2024년에 폐지되었습니다.


      이 평가는 대학의 재정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었기에,

      이 제도 폐지를 '오픈 평가 대학 폐지'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대학 입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문제점:

      학종의 '종합 평가' 방식은 정성적 평가의 공정성 문제와 사교육 유발 등의 논란을 낳았고,

      이는 학생부종합전형 폐지 주장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 📊 블라인드 평가의 의의




      🌟 정리

      • 현재 대학 입시는 블라인드 평가 100% 적용

      • 오픈 평가는 과거에 존재했지만, 지금은 제도적으로 불가능

      • 중요한 것은 학교가 아니라 학생 개인의 활동 기록과 전공 적합성입니다.


      👉 따라서 학부모님과 학생은 “학교 간 비교”가 아닌,
      나만의 활동·탐구 기록을 얼마나 충실히 남겼는지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상,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