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작성일 |
---|---|
[입시용어 알아보기] 수시 적성평가형 & 면접활용형 비교 전형 | 2025.08.11 |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 수시 적성평가형 전형이란?
- 대학별로 출제하는 적성검사(국어·수학·영어 등 기초 학업 능력 평가) 점수를 반영
- 객관식·단답형 위주의 문항으로 수능·내신 부담이 큰 학생에게 기회 제공
- 학생부(내신) 반영 비율이 낮거나, 수능최저를 적용하는 대학도 있음
📌 특징
- 내신 중·하위권 학생도 합격 가능성 있음(적성 점수 비중 높음)
- 시험 난이도는 수능보다 낮지만, 속도·정확성 요구
- 전국 소수 대학만 시행(경기·수도권 위주)
- 2025학년도까지 일부 대학에서만 유지, 점차 축소 추세
🗣 수시 면접활용형 전형이란?
- 학생부·서류(활동보고서, 추천서 등)를 기반으로 한 면접을 주요 평가 요소로 반영
- 전공적합성, 학업역량, 인성, 발전가능성 등을 심층 질문을 통해 검증
- 제시문 기반 면접, 인성 면접, 상황면접 등 대학·학과별 방식 다양
📌 특징
- 비교과·활동 중심 평가 가능
- 발표·의사소통·논리적 사고력이 중요한 요소
- 일부 대학은 수능최저 학력기준 적용
- 학생부 비교과 기록과 면접 태도가 당락에 큰 영향
📊 차이점 한눈에 보기
🎯 이런 학생에게 추천해요!
적성평가형
- 내신이 다소 불리하지만 기초 학업능력에 자신 있는 학생
- 빠르고 정확한 문제풀이가 가능한 학생
- 수능 부담은 줄이고, 대학별 시험 준비에 집중하고 싶은 학생
면접활용형
- 발표력·논리력·대인관계 능력이 강점인 학생
- 전공 관련 활동 경험이 풍부한 학생
- 서류·면접에서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