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학과 알아보기] 동물자원학과 & 수의예과 2025.07.14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동물을 좋아하면 둘 중 아무 데나 가도 될까요?"


두 학과 모두 ‘동물’을 다루지만
학문적 방향과 진로는 확연히 다릅니다.

같은 듯 다른 이 두 전공, 오늘 확실히 구분해드릴게요!






🐮 동물자원학과란?

축산업과 동물자원 활용에 초점을 맞춘 응용생명과학 전공입니다.

가축의 생리·유전·사육환경·사료 등을 연구하며
안전한 먹거리와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기술을 개발합니다.

🧪 배우는 내용 (4개)

  • - 동물생리학 및 유전학

  • - 사료학 및 동물영양

  • - 축산환경관리 및 사육기술

  • - 식육가공 및 축산물 품질관리


    🔍 특징

  • 1. 주로  가축(소, 돼지, 닭 등)을 대상으로 연구

  • 2. 생명공학, 식품공학, 환경공학과의 융합 가능

  • 3. 일부 전공에서는 애완동물·반려동물 관리도 다룸


    🎓 졸업 후 진로

  • 축산기술사 / 사료회사 / 식품·축산물 품질관리 / 국가 및 지자체 축산 관련 공무원

  •  / 농협·축협 생산유통관리직 / 대학원 진학 후 연구원 또는 교직





    🐶 수의예과란?

동물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전문직 진학 과정입니다.
‘수의예과(2년) → 수의학과(4년)’ 총 6년 과정을 마치면
수의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

🧬 배우는 내용 (4개)

  • -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등 기초수의학

  • - 수의미생물학, 면역학

  • - 임상진료(내과, 외과, 영상의학)

  • - 반려동물, 가축, 야생동물 의료 지식


    🔍 특징

  • 1. 수의사 면허 취득을 위한 국가자격 진입 전공

  • 2. 인간의 의료학처럼, 동물의 진료와 수술 중심

  • 3. 반려동물 의료 외에도 가축 전염병, 공중보건 등 포함


    🎓 졸업 후 진로

  • 동물병원 수의사 / 반려동물 전문의 / 공중방역 수의사 (검역·방역 공무원 등) /

  • 제약·백신·식품 기업의 수의연구원 / 대학원 진학 / 수의학 박사 과정 /

  • 국가기관(농림축산검역본부, 식약처 등)



🔎한눈에 비교하기




🎯 이런 학생에게 추천해요!



🐮 동물자원학과

  • - 지속가능한 축산업과 먹거리에 관심 있는 학생

  • - 동물 사육·유전·영양 등 생명과학 기반 연구에 흥미 있는 학생

  • - 식품, 환경 등 융합 분야 진출을 고려하는 학생


🐶 수의예과

  • - 동물의 질병과 생명 치료에 관심 많은 학생

  • - 임상 수의사나 공중방역 수의사를 꿈꾸는 학생

  • - 전문직 진로(수의사)를 목표로 장기 학업이 가능한 학생


    ✅ 정리하자면

동물자원학과는 동물을 ‘기르고 관리하는 기술을,
수의예과는 동물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성’을 다룹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학문적 방향과 자격 진로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진로 목표에 따라 정확한 학과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상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