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학과 알아보기] 환경공학과 & 생명환경학과 2025.07.01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환경공학과 & 생명환경학과
“같은 환경인데, 뭐가 달라요?”

환경오염, 생태 파괴, 자원 고갈 같은 문제들이 심각해지면서
환경을 다루는 전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죠.

그중에서도 헷갈리는 두 전공,
바로 ‘환경공학과’와 ‘생명환경학과’입니다.

두 학과 모두 환경을 연구하지만
접근 방식과 기술의 초점은 다릅니다!





🌱 환경공학과란?

환경 문제를 기술적·공학적 해결을 통해 다루는 학과입니다.
수질, 대기, 폐기물, 토양 등 다양한 오염원을
분석하고 정화하는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 배우는 내용

    • - 수질·대기 오염 제어 및 정화 기술

    • - 폐기물 처리와 자원순환 시스템 설계

    • - 친환경 에너지와 탄소중립 기술

    • - 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정책 이해


      📌특징

  • 1. 환경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관점

  • 2. 실험과 시뮬레이션 중심

  • 3. 수치해석, 설계 능력 등 공학적 사고 필요


    🎓 졸업 후 진로

    • 수질, 대기, 폐기물 처리 기술자 / 환경기술 개발 연구원 /

    • 환경영향평가사 / 공공기관 환경직 / 플랜트 설계 및 운영 엔지니어 /

    • 에너지·탄소중립 관련 엔지니어 / 환경공무원, 환경컨설턴트






    • 🧬 생명환경학과란?

환경 속 생명체와 생태계의 관계를 이해하고
보전과 회복을 위한 생명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는 전공입니다.
생물 다양성, 생태복원, 생물자원 보존 등을 다룹니다.

📕배우는 내용
  • - 생태계 구조와 생물다양성 이론

  • - 환경생물학 및 기후변화 생물학

  • - 생물자원 활용 및 생태복원 기술

  • - 야외조사와 환경 데이터 분석 실습


    📌특징

  • 1. ‘생명 중심’의 환경 접근

  • 2. 생물학, 생태학 이론 학습 중심

  • 3. 필드 조사와 데이터 기반 연구가 많음

    🎓 졸업 후 진로

    • 생태 모니터링 및 생물다양성 연구원 / 환경영향 조사·분석 전문가 /

    • 생물자원 보호 및 정책 연구자 / 국립공원·환경단체·NGO 활동가 /

    • 생물학 기반 환경교육 전문가 / 환경기획 및 생태관광 개발 전문가



    • 🔎한눈에 비교하기



      🎯 이런 학생에게 추천해요!



      🌱 환경공학과

      • - 수학, 물리 기반의 공학적 해결에 관심 있는 학생

      • - 시스템 설계, 공정 기술 등 ‘기술’ 중심의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

      • - 환경 문제를 숫자와 데이터로 접근하고 싶은 학생


        🧬 생명환경학과

      • - 생물학, 생태계, 자연과학 전반에 흥미가 있는 학생

      • -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보존에 관심이 많은 학생

      • - 야외 활동, 필드 조사 등 현장 기반 활동을 좋아하는 학생


      • ✅ 정리하자면

        환경공학과는 "환경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학과",
        생명환경학과는 "생태계와 생명을 보존하는 학과"입니다.

        같은 환경이라는 주제를 다루지만
        하나는 공학, 하나는 생명과학을 통해 접근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공부 방향이 이과의 ‘기술’인지
        생물학 기반의 ‘자연 탐구’인지 먼저 생각해보세요!


        이상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