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입시의 모든 것 YouTube 언론보도 카드뉴스 대치리본
제목 작성일
[학과 알아보기] 지능형로봇학과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2025.06.26

안녕하세요~ 모든에듀케이션입니다!



지능형로봇학과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로봇을 만드는 학과는 하나가 아니라고요?


AI 로봇, 산업용 로봇, 의료 로봇까지
우리 삶 곳곳에 로봇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로봇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학과도 다양해졌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자주 헷갈리는
지능형로봇학과메카트로닉스공학과의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 지능형로봇학과란?

AI(인공지능), 센서 기술, 자율제어 등
로봇에 ‘지능’을 부여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배우는 전공입니다.

📕 배우는 내용

    • - 로봇 자율제어 및 AI 기반 판단 시스템

    • - 컴퓨터 비전, 센서 기반 인식 기술

    • - 휴머노이드 및 서비스 로봇 프로그래밍

    • -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설계 이론


  • 📌 특징

  • 1. AI와 제어 기술 중심

  • 2. 로봇의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능력’에 집중

  • 3. 소프트웨어와 융합 기술 활용도가 높음


    🎓 졸업 후 진로

    • AI 로봇 개발자 / 로봇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자 /

    • 스마트팩토리 지능제어 연구원 /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UX 설계자 /

    • 의료·서비스 로봇 설계 및 응용 연구원 / 로봇 스타트업 창업 또는 대학원 진학






    • 🔧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기계+전자+제어+컴퓨터 기술이 통합된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계·제작하는 전공입니다.


      📕배우는 내용

        • - 기계 설계 및 전자회로 시스템 이해

        • -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자동제어 기술

        • - 센서 응용 및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 - 메카트로닉스 통합 프로젝트 실습


          📌특징

      • 1. 하드웨어 중심의 종합공학

      • 2. 로봇의 ‘움직이는 부품’과 ‘제작 기술’에 더 가까움

      • 3. 산업 자동화, 공정 시스템 등으로 진출 폭 넓음


        🎓 졸업 후 진로

      • 로봇 설계 엔지니어 / 자동화 시스템 개발자 / 산업용 로봇 하드웨어 기술자 /

      • 스마트공장 제어기술 연구원 / 제어장치, 센서, PLC 응용 설계자 /

      • 정밀기계·전장 설계 분야 진출 / 전기·전자·기계 융합 분야 다학제형 연구원



      • 🔎한눈에 비교하기




        🎯 이런 학생에게 추천해요!



        🤖 지능형로봇학과

        - AI, 소프트웨어, 데이터 기반 기술에 흥미 있는 학생

        • - ‘로봇의 뇌’를 설계하며 자율성·지능화에 관심 있는 학생

        • - 인공지능+로봇 융합 연구나 개발을 하고 싶은 학생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기계, 전자, 제어 등 물리적 구조나 장치 설계에 흥미 있는 학생

        • - 실제로 로봇을 만들고 움직이게 하는 과정에 관심 많은 학생

        • -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등 현장 기술에 진출하고 싶은 학생


          -

          지능형로봇학과는 "로봇의 두뇌를 만드는 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과는 "로봇의 몸체를 만드는 전공"입니다.

          둘 다 로봇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접근하는 기술과 진로 방향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소프트웨어형인지, 하드웨어형인지 먼저 고민해보면 좋습니다!



        모든에듀케이션이었습니다!